세상살이2015. 1. 30. 23:33
300x250


2020년부터 식탁에서 다시 우리 명태를 먹을 수 있다


- 해양수산부, 2017년까지 국산 명태 생산기술 확보 추진 



해양수산부(장관 이주영)는 과도한 어획 등으로 사라진 명태를 회복시켜 국민식탁에 올리기 위해 2017년까지 명태 종묘 생산기술을 완전히 확보하고, 2020년부터 경제성 있는 명태를 생산하겠다는 ‘2015년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 추진계획’을 야심차게 발표하였다. 


특히 2015년부터 부화한 어린 명태를 방류하는 사업을 처음으로 추진하고, 2017년에 완전한 종묘생산체제를 구축한 후 2018년부터는 생산된 수정란 또는 새끼 명태를 민간에 보급하여 육상에서 양식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 명태 수정란 확보 계획(단위 : 만 개): (’14)10 → (’15)100 → (’16)500 → (’17)1,000 → (’18)5,000 → (’19)10,000 → (’20)50,000


해양수산부는 우리 동해 해역에 명태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해 올해 2월부터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왔다. 올해는 명태 수정란 10만 개를 확보하여 그 중 9만 마리를 1cm 이상의 치어로 부화시키는 등 우리 종묘 생산기술을 확인하고, 3∼4월에 확보한 살아있는 명태 3마리를 현재까지 사육하고 있어 육상양식의 가능성도 증명하는 성과를 얻었다. 또한 아야진과 양양 사이의 동해 수역에서 소규모이지만 명태 산란장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명태 수정란은 부화 35일 후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부레팽창증 등의 문제로 모두 폐사하여 명태의 성장과정에 대한 더 깊은 생태연구와 새끼 명태로 성장시키기 위한 충분한 명태 수정란의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해양수산부는 명태의 초기 생활과정을 연구하고 대량 종묘생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3년간 9억 원을 투자하는 연구개발사업을 지난 10월에 시작하였다. 명태의 수정란을 확보하기 위해서 사례금 지급 등 적극적인 홍보활동도 펼치고 있으며, 정치여건이 나아지면 살아있는 명태나 명태의 수정란을 반입하기 위한 남북 협력사업도 추진할 계획이다. 참고로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통계에 따르면 북한 수역에서는 원산만을 산란지로 하여 연간 6만 톤의 명태가 생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동해안 명태어획량이 감소한 주원인은 소형 명태인 노가리를 과도하게 어획한데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1970년 노가리 어획이 합법화된 이후 노가리가 집중적으로 어획되어 지금은 노가리 어획량이 전체 명태 어획량의 90%를 차지하고 있다. 


* 명태어획량은 1970‧80년대에 7만 톤, 1990년대 6천 톤, 2000년대 중반까지 1백 톤 미만이다가 2007년 이후 현재까지는 1~2톤에 불과한 실정


사라진 동해의 명태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해양수산부는 2015년 1월부터 명태 수정란을 동해 바다 표층에 방류하여 명태의 생활사를 과학적으로 증명할 예정이다. 한류성 어족인 명태의 치어가 자연 상태에서 생활하는 수심인 20~60m 정도의 저층에는 2015년부터 생산된 치어를 방류하여 명태의 자원량을 증대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우리 동해어민들로부터 살아있는 명태를 받아 수정란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어미 명태를 확보하고, 어미 명태의 생활사에 대한 선행연구를 위하여 캐나다산 명태 500마리를 올해 안에 도입할 예정이다.

서장우 해양수산부 어업자원정책관은 “동해 바다의 도루묵과 대구에 이어 명태가 또 하나의 수산자원 회복 성공사례가 될 수 있도록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내년부터는 더욱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라며, “명태의 대량 종묘생산을 통하여 2021년부터는 연간 4,800억 원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명태, 아직 우리 바다에 있습니다.

동해의 살아있는 명태를 찾습니다.

사례금 50만원 (활어명태 보존상태에 따라 5~50만원까지 차등지급)

살아있는 명태는 수정란 확보를 위해 꼭 필요합니다.



** 출처 : 해양수산부


300x250
Posted by 마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