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살이2015. 3. 4. 17:20
300x250

이제는 중앙부처 국장과 읍면동 직원도 영상회의로 소통한다

행정기관 소통·협업의 창구“나라e음”을 통한 PC영상 민원상담도 가능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는 전 행정기관 공무원의 협업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나라e음 기능을 확대 개편하여, PC영상회의를 공공기관까지 연결하는 한편, 민원인(서울)과 조사관(세종)간 1:1 PC영상 민원상담까지도 가능하도록 서비스한다고 발표했다.


행정자치부는 중앙부처의 세종시 이전 및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이전으로 기관간 회의 및 협의 등에 소요되는 많은 불편과 비효율을 줄이기 위하여, 읍면동 직원까지 전 공무원을 하나로 묶어 문자대화나 자료 송수신이 가능한 통합메신저, 기관간 보고 및 회의가 가능한 PC영상회의, 의견수렴 및 자료 공유가 가능한 기관간 메모보고, 의견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는 담벼락 등 소통·협업이 가능한 “나라e음”을 구축하여 2014년부터 전 행정기관(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 서비스하고 있다. 나라e음의 다양한 기능 중 PC영상회의는 본 서비스가 개통된 후 2014년 한해동안 2만 7천여건의 회의를 PC영상회의로 진행할 정도로 일반적인 대면회의의 많은 부분을 대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기관 상호간에 이루어지는 소통·협업 외 공공기관 혁신도시 이전에 따른 관계 부처와의 소통, 원거리 민원인의 불편 등을 해결하고, 현행 나라e음의 일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나라e음 2단계 구축 사업을 진행한 결과, 2.26(목) 맞춤형 나라e음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 것이다.


PC영상 민원상담서비스는 국민 고충을 상담·해결하는 국민권익위원회가 2014년 말에 세종시(정부세종청사)로 이전함에 따라 발생할 민원인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행자부와 권익위간 상호 공유·협력하여 만든 정부3.0의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올해 3월 중순부터는 행정기관과 산하 공공기관 간에도 PC영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많은 공공기관들이 지방 혁신도시로 이전하여 서울, 과천, 세종 및 대전 등에 위치해 있는 관련 중앙부처와의 회의에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인 바, 나라e음의 PC영상회의 서비스를 공공기관까지 확대 서비스함으로써 그간의 원거리 출장에 따른 시간 및 예산 낭비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여 행정기관에서 운영하는 각종 자문위원회 회의를 PC영상회의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심도있는 위원회 운영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아울러, 통합 메신저 기능을 확대, 각종 문서 및 자료 교환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여, 그동안 부처간 자료 전송에 외부메일을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없애고, 자료 협조를 위해 출장, 대면회의를 수시로 개최하던 관행을 대폭 개선할 계획이다. 


김승수 행정자치부 창조정부기획관은 향후 전 공무원의 “나라e음” 활용을 독려하고 교육홍보를 강화하여,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에 따른 비효율을 극복하고 부처간 칸막이 제거하는 동시에 국민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나라e음을 이용한 PC영상 민원상담 절차


** 출처 : 행정자치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