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살이2014. 2. 10. 17:59
300x250


1977년 교통 법규 위반으로 인해 찍었던 빌 게이츠의 상반신 사진. 출처:위키백과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빌 게이츠가 가주에 있는 마운틴 휘트니(Mt.Whitney)고등학교를 

방문하고 사회문을 밟기 시작하는 학생들에게 참고될 조언을 들려주었다. 


1. 인생이란 원래 공평하지 못하다. 그런 현실에 대하여 불평할 생각하지 말고 받아들여라. 

Rule 1: Life is not fair. Get used to it. 


2. 세상은 네 자신이 어떻게 생각하든 상관하지 않는다. 세상이 너희들한테 기대하는 것은 네가 스스로 만족하다고 느끼기 전에 무엇인가를 성취해서 보여줄 것을 기다리고 있다. 

Rule 2: The world won't care about your self-esteem. The world will expect you to accomplish something before you feel good about yourself. 


3. 대학교육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연봉 4만 달러가 될 것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말라. 

Rule 3: You will  not make $40,000 a year right out of high school. You won't be a vice-president with a car phone until you earn both. 


4. 학교 선생님이 까다롭다고 생각되거든 사회 나와서 직장 상사의 진짜 까다로운 맛을 한번 느껴봐라. 

Rule 4: If you think your teacher is tough, wait till you get a boss. 


5. 햄버거가게에서 일하는 것을 수치스럽게 생각하지마라. 너희 할아버지는 그 일을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Rule 5: Flipping burgers is not beneath your dignity. Your grandparents had a different word for burger flipping. They called it opportunity. 


6. 네 인생을 네가 망치고 있으면서 부모 탓을 하지마라. 불평만 일삼을 것이 아니라 잘못한 것에서 교훈을 얻어라 

Rule 6: If you mess up, it's not your parents' fault. So don't whine about your mistakes. Learn from them. 


7. 학교는 승자나 패자를 뚜렷이 가리지 않을지 모른다. 어떤 학교에서는 낙제제도를 아예 없애고 쉽게 가르치고 있다는 것을 잘 안다. 그러나 사회 현실은 이와 다르다는 것을 명심하라. 

Rule 7: Your school may have done away with winners and losers, but life has not. In some schools, they have abolished failing grades and they'll give you as many times asa you want to get the right answer. This doesn't bear the slightest resemblance to ANYTHING in real life. 


8. 인생은 학기처럼 구분되어 있지도 않고 여름 방학이라는 것은 아예 있지도 않다. 네가 스스로 알아서 하지 않으면 직장에서는 가르쳐주지 않는다. 

Rule 8: Life is not divided into semesters. You don't get summers off and very few employers are interested in helping you find yourself. Do that on your own time. 


9. TV는 현실이 아니다. 현실에서는 커피를 마셨으면 일을 시작하는 것이 옳다. 

Rule 9: Television is NOT real life. In real life people actually have to leave the coffee shop and go to jobs. 


10. 공부 밖에 할 줄 모르는 "바보"한테 잘 보여라. 사회 나온 다음에는 아마 그 "바보" 밑에서 일하게 될지 모른다. 

Rule 10: Be nice to nerds. Chances are you'll end up working for one.



* 출처 : http://kldp.org/node/21431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2. 10. 17:39
300x250



착한 사마리아인의 법(Good Samaritan Law)

 - 구조거부죄, 불구조죄



착한 사마리아인의 법(Good Samaritan Law) 또는 선한 사마리아인의 법은 


위험에 처한 사람을 구조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위험에 빠지지 않는 상황인데도 불구하고, 구조 불이행(Failure-to-Rescue)을 저지른 사람을 처벌하는 법이다. 


구조거부죄 또는 불구조죄라고도 하며, 사형 제도, 신념에 의한 병역 거부와 함께 찬반 양론이 팽팽하게 맞서는 법적 쟁점 가운데 하나이다.


간단히 말해 ..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 사람을 도와주어도 나에겐 아무런 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돕지 않았다면, 돕지 않은 사람을 처벌하는 법이다. 


대한민국의 선한 사마리아인법에 경우, 


외면에 대한 처벌 규정은 없고 선한 취지의 행위를 장려하기 위한 면책규정이라는 점에서 다른 나라의 법과는 차이가 있다.



* 참고 : 

착한 사마리아인이 부상당한 여행자를 구조하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조각상 - 출처 : 위키백과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인터넷2014. 2. 10. 17:31
300x250

서비스형 블로그와 설치형 블로그 등 블로그의 연결 서비스로 일종의 블로그 포털 서비스. 

메타블로그에 자신의 RSS 주소를 등록해 놓으면 블로그에 업데이트 할 때마다 메타블로그의 ‘새로운 글’ 리스트에 추가되어 자신의 블로그를 다른 사람에게 효과적으로 홍보 가능



300x250
Posted by 마스타
비망록2014. 2. 10. 17:28
300x250



ㅁ 사육신 (死六臣)



집현전 학사로서 세종의 신임을 받고, 문종에게서 나이 어린 세자(단종)를 잘 보필하여 달라는 고명(顧命)을 받은 사람들 가운데 단종복위를 꾀하다가 발각되어 세조에게 죽임을 당한 여섯 명의 신하를 이르는 말이다.


이들의 시신은 노량진 근처에 매장되어 있다.


성삼문(成三問 : 承旨), 박팽년(朴彭年:刑曹參判), 하위지(河緯地:禮曹參判), 이개(李塏 : 直提學), 유성원(柳誠源 : 司藝), 유응부(兪應孚 : 中樞院同知事) 와 1982년 국사편찬위원회의에서 현창된 김문기(金文起 :工曹判書)를 말한다.  




ㅁ 생육신 (生六臣)



생육신(生六臣)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벼슬을 버리고 절개를 지킨 여섯 명의 신하를 말한다. 


세조의 찬위 사건을 불의의 행위로 단정하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원칙에 따라 두문(杜門) 혹은 방랑으로 일생을 보냈다. 


이들은 벼슬을 버리고 단종을 추모하면서 절개를 지켰다.


김시습(金時習), 원호(元昊), 이맹전(李孟專), 조려(趙旅), 성담수(成聘壽), 남효온(南孝溫) 





* 참고 : http://blog.daum.net/koreasan/11401896




ㅁ 사육신묘 찾아가는 길 위치 지도



300x250
Posted by 마스타
환경에너지2014. 2. 10. 17:24
300x250



ㅁ 빛의 밝기와 관련된 단위들



광원 : 조명에 필요한 빛을 발생시키는 것 


광속 :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양, 단위는 루멘[Im] 


광도 :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빛의 세기, 단위는 칸델라[Cd] 


조도 : 빛을 받고 있는 면의 밝기, 단위는 럭스[Lx] 


조도는 광속의 양에 비례하고 광속이 비추는 면의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 출처 : http://cafe.naver.com/jg6.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159

300x250
Posted by 마스타
비망록2014. 2. 10. 14:35
300x250



지금은 많이 쓰지는 않지만, 
그래도 종종 쓰이고 있는 세계 국가 이름의 한자 표기들.

아하~! 하는 것들도 몇개 있구만. ^^


俄羅斯(아라사) : 러시아 - '아관파천'의 '아'가 아라사

露西亞(로서아) : 러시아 

西班牙(서반아) : 스페인 

獨逸(독일) : 도이칠란트

佛蘭西(불란서) : 프랑스 

和蘭(화란) : 네덜란드 

波蘭(파란) : 폴란드

埃及(애급) : 이집트 - 우리 나라에선 성경에 나오는 [出(출)애굽記(기)]를 초창기에는 [출 애급기]로 번역함.

伊太利(이태리) : 이탈리아 

瑞典(서전) : 스웨덴 - '서전 안경원'의 '서전'이 바로 이 瑞典. 서전 안경테 광고도 기억나는 구만. ^^

希臘(희랍) : 그리스 

英國(영국) : 잉글랜드 - 지금은 잘 쓰이지 않는 말이지만, 英吉利國(영길리국)이라고도 함.

土耳其(토이기) : 터키

墺地利(오지리) : 오스트리아 - 공선옥의 소설 중에 <墺地利에 두고 온 서른 살>이란 작품이 있음.

越南(월남) : 베트남

比率賓(비율빈) : 필리핀 

泰國(태국) : 타이 

印度(인도) : 인디아 

濠洲(호주) : 오스트레일리아 

亞細亞(아세아) : 아시아 

歐羅巴(구라파) : 유럽 - 歐洲(구주)라고도 함.

美洲(미주) : 아메리카주 - 일본에서는 米洲라고 씀

印度支那(인도지나) : 인도차이나



* 출처 : http://board2.cgiworld.net/view.cgi?id=jokc5000&now=1&jd=-1&ino=15&tmp_no=15



ㅁ 추가


伯林(백림) : 독일의 수도 베를린, 동백림 사건(東伯林 事件)의 동백림은 동베를린이다.


아관파천(俄館播遷) : 고종황제의 아관파천의 '아' 가 아라사를 말한다. 처음엔 러시아의 '아' 인 줄 알았다. 




300x250
Posted by 마스타
비망록2014. 2. 10. 14:18
300x250



ㅁ 풍잠(風簪)



'풍잠(風簪)'은 이렇게 '양반들의 상징의 하나'로 '망건의 당 앞쪽에 대는 장식품'입니다. 


쇠뿔, 대모, 금패 따위로 만들며 여기에 갓모자가 걸려서 바람이 불어도 뒤쪽으로 넘어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비슷한 속담] 


양반은 물에 빠져도 개헤엄은 안 한다.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은 안 쬔다.


300x250
Posted by 마스타
블로그운영2014. 2. 10. 14:05
300x250


티스토리 글쓰기 시에 사진이나 이미지를 업로드 하여 올릴 수 있다. 


이렇게 직접 업로드 하는 방법 말고, 인터넷상의 이미지를 글쓰기 본문에 넣는 방법을 알아 보자. 



글쓰기 화면 html editor 상단의 '외부컨텐츠' 메뉴를 통해서 외부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은 팝업창이 뜨는데,




멀티미디어 링크를 선택한 후에, 링크입력에 이미지의 url 을 넣으면 된다. 



아래는 위키백과에 있는 김연아 선수의 벤쿠버 동계 올림픽 당시 시상식 사진을 시험삼아 넣어 보았다. 



이미지 출처 및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e/e3/2010_Olympic_ladies_podium.jpg


300x250
Posted by 마스타
비망록2014. 2. 10. 13:45
300x250



ㅁ 홀로코스트 [Holocaust]



일반적으로 인간이나 동물을 대량으로 태워 죽이거나 대학살하는 행위를 총칭하지만, 


고유명사로 쓸 때는 제2차세계대전 중 나치스 독일에 의해 자행된 유대인 대학살을 뜻한다.





*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D%99%80%EB%A1%9C%EC%BD%94%EC%8A%A4%ED%8A%B8

http://mirror.enha.kr/wiki/%ED%99%80%EB%A1%9C%EC%BD%94%EC%8A%A4%ED%8A%B8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2. 10. 13:38
300x250




子曰 身體髮膚 는 受之父母 니 不敢毁傷 이 孝之始也 요. 

(자왈 신체발부는 수지부모니 불감훼상이 효지시야요) 


立身行道 하며 楊名於後世 하여 以顯父母 가 孝之終也 라. 

(입신행도하며 양명어후세하여 이현부모가 효지종야라.) 



공자가 말하기를..


우리의 몸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훼손하지 않고 다치지 않는 것이 효도의 시작이며, 


출세하여 후세에 이름을 날려 부모를 드러내는 것이 효의 끝이다.




효경, 개종명의장제1 [孝經, 開宗明義 章第1] 에 나오는 공자님의 말씀이다.




참고

http://yulgok.co.kr/book/snghak/jeongga02.htm







300x250
Posted by 마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