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살이2016. 12. 14. 14:22
300x250




생맥주 용기는 2-30년 사용한다고 하는데..


통을 반으로 갈라서 내부를 보니..




생각보다 깨끗해서 당황~~ ㅎㅎ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강으로 만든 데다가


호프집에서 회수하면 특수장비로 세척을 하기 때문이라고..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6. 12. 12. 14:15
300x250




팔영대교를 포함해서, 


고흥반도와 여수반도 주위 섬들을 다리로 연결하여 


77번 국도를 이어버리는 구만.. ㅎㅎ



언젠가는 77번 국도 전체를 한번 달려 봐야 할 듯 하다.



====



고흥∼여수를 잇는‘팔영대교’명칭 확정


국가지명위원회 전남·인천 77개 지명 최종 결정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원장 최병남)은 지난 9일 국가지명위원회를 개최하여 전라남도 ‘팔영대교’ 등 3개 시‧도에서 상정한 지명정비(안)을 심의‧의결하여 최종 확정(77개)하였다고 밝혔다.


* 인천의 바이오산업교 1개, 전라남도의 팔영대교 등 76개의 지명을 정비했다. 


ㅇ 전라남도의 경우 다도해 해상국립공원으로 승격된 ‘팔영산’의 8개 봉우리를 비롯하여 국도 1호선 정읍과 원덕 간 도로신설에 따른 장성군 관내의 인공 시설물, 고흥군의 무인도서 명칭 등을 확정하게 되었다.


- 팔영대교는 고흥 영남면과 여수 적금도를 잇는 교량으로서 제3차 국가지명위원회(`16.6.22.)때 양 시‧군의 합의를 통한 명칭을 제정하기 위해 부결된 안건이며, 전남도에서 양 시‧군의 의견수렴 및 자문회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 이와 함께 명칭이 확정된 영광군과 무안군의 경계에 위치한 ‘칠산대교’는 양 지자체가 서로 공유하고 있는 칠산바다의 명칭을 따서 제안한 이름으로 합의를 통해 명칭을 결정한 좋은 사례로 보인다.   


- 그 밖에 풍채가 당당한 선비의 그림자를 닮았다하여 붙여진 ‘유영봉(儒影峰)’ 등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으로 승격된 팔영산의 8개 봉우리* 명칭도 역사성을 가지고 현재 부르고 있는 이름으로 확정하였다.

* 유영봉, 성주봉, 생황봉, 사자봉, 오로봉, 두류봉, 칠성봉, 적취봉 


ㅇ 한편 경기도에서 상정한 포천시와 양주시 경계의 터널 명칭 ‘천보산터널’은 인근의 ‘천보터널’이라는 유사한 이름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어 자료보완 등 재검토를 위해 부결하였다.



□ 국토지리정보원은 지명이 그 지역의 역사성을 간직하고 있어 지역을 홍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지명의 가치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적절한 표준과 기준 등 제도를 보완하여 향후 적극적으로 지명을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 붙임 

1. 주요 확정지명 사진 1부,

2. 2016년 제5차 국가지명위원회 결정지명 고시내역 1부.  끝.




붙임1. 주요 확정지명 사진


❐ 인천광역시 바이오산업교 위치도 및 현장사진


❐ 전라남도 팔영대교(八影大橋) 위치도와 현장사진


❐ 전남 고흥군 소재 팔영산의 8개 봉우리




ㅇ 팔영산 8개 봉우리 현장사진


유영봉 성주봉


생황봉 사자봉


오로봉 두류봉


칠성봉 적취봉





붙임 2. 지명의 제정 및 변경 고시(안)



고 시 안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6-   호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제91조제2항의 규정에 따라 2016년 제5차 국가지명위원회에서 결정된 지명을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16. 12.   

국토지리정보원장

❏ 지명의 제정


번호

행   정   구   역

종류

경도

위도

제정

비고

1

인천광역시 연수구~남동구 

송도 바이오대로

교량

126°41′1.86″

37°23′10.60″

바이오산업교


2

전남 여수시 화양면 적금리~

전남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교량

127°30'10.96"

34°37'53.69"

팔영대교

八影大橋


3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강산리 산189-1

봉우리

127˚25'51.86"

127˚25'51.86"

유영봉

儒影峰


4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산128-6

봉우리

127˚25'50.17"

34˚37'34.71"

성주봉

聖主峰


5

전라남도 고흥군 점암면 성기리 산128-6

봉우리

127˚25'49.11"

34˚37'31.56"

생황봉

笙簧峰


6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산350-1

봉우리

127˚25'50.80"

34˚37'28.46"

사자봉

獅子峰


7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산350-1

봉우리

127˚25'51.22"

34˚37'21.68"

오로봉

五老峰


8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산189-1 

봉우리

127˚25'51.74"

34˚37'16.37"

두류봉

頭流峰


9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산350-1

봉우리

127˚25'53.97"

34˚37'11.60"

칠성봉

七星峰


10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우천리

산350-1

봉우리

127˚26'06.41"

34˚37'02.65"

적취봉

積翠峰


11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봉암리 

산441

127˚09'12.34"

34˚31'02.15"

긴솔섬


12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 산321

127˚16'37.28"

34˚22'28.32"

작은발도


13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 산323

127˚14'31.62"

34˚24'22.72"

평바


14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시산리 산324

127˚14'36.76"

34˚24'21.28"

평바안섬


15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촌리 산456

127˚07'37.36"

34˚29'21.89"

장재앞녘


16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평리 산500

127˚14'18.24"

34˚28'32.52"

공돌바위


17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평리 산171

127˚14'04.70"

34˚28'45.66"

행도


18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평리 산496

127˚13'54.91"

34˚29'38.90"

닭머리섬


19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평리 산497

127˚13'56.42"

34˚29'36.92"

열두대구


20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평리 산498

127˚14'04.76"

34˚29'30.62"

닭꼬리섬


21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오천리 산105

127˚13'38.83"

34˚26'34.01"

대취독섬


22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오천리 산107

127˚13'27.15"

34˚25'39.43"

떡시리안섬


23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오천리 산108

127˚13'26.15"

34˚25'37.72"

떡시리바깥섬


24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덕중리 산28

127˚22'52.59"

34˚28'54.46"

추도안섬


25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덕중리 산323

127˚23'11.40"

34˚28'58.53"

모래안독섬


26

전라남도 고흥군도화면 덕중리 산324 

127˚23'11.59"

34˚28'57.25"

모래바깥독섬


27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지죽리 산254

127˚17'42.16"

34˚27'04.62"

동암


28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지죽리 산255

127˚18'32.86"

34˚25'50.27"

바구리섬


29

전라남도 고흥군 도화면 지죽리 산256

127˚18'36.87"

34˚25'46.67"

대끝섬


30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오취리 산271

127˚27'42.52"

34˚33'39.31"

고치섬


31

전라남도 고흥군 포두면 오취리 산272

127˚27'37.57"

34˚34'01.70"

안할미섬


32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산459

127˚23'58.15"

34˚29'13.74"

나비좌도


33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산460

127˚24'00.83"

34˚29'13.10"

나비우도


34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산476

127˚24'03.99"

34˚29'09.49"

편평도


35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산467

127˚22'15.12"

34˚27'09.14"

작은장구섬


36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산473

127˚21'59.33"

34˚27'20.29"

갈매죽지


37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사양리 산477

127˚23'59.72"

34˚28'33.24"

째깐섬


38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 산315

127˚32'44.71

34˚26'34.89"

머리새우섬


39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예내리 산316

127˚32'47.15"

34˚26'33.61"

꼬리새우섬


40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산223

127˚28'14.38"

34˚34'08.83"

옥대안섬


41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산224

127˚28'16.37"

34˚34'08.06"

옥대바깥섬


42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남열리 산225

127˚28'26.50"

34˚34'26.56"

몰암도


43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 산174

127˚28'12.72"

34˚40'28.86"

꼬사리섬


44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 백일리 산178

127˚26'50.28"

34˚41'00.70"

꽃섬


45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남양리 산191

127˚18'36.74"

34˚44'25.22"

오리섬


46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남양리 산235

127˚18'29.41"

34˚44'14.68"

꼬리섬


47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남양리 산236

127˚19'08.40"

34˚43'42.43"

해섬


48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중산리 산164

127˚19'27.84"

34˚44'27.98"

지섬


49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중산리 산163

127˚18'56.93"

34˚44'11.23"

행계섬


50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예회리 산139

127˚17'38.14"

34˚42'34.13"

서목섬


51

전남 북하면 쌍웅리 산31-2임

터널

126˚51'21.08"

35˚24'54.58"

쌍웅터널


52

전남 장성군 쌍웅리 산56-1임

터널

126˚50'16.36"

35˚25'08.77"

곰재터널


53

전남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산59-1임

터널

126˚49'17.39"

35˚25'42.46"

오월터널


54

전남 장성군 북이면 원덕리 산21-28임∼전북 정읍시 입암면 등천리 산107-3임

터널

126˚48'20.43"

35˚27'57.92"

목란터널


55

전남 장성군 북하면 덕재리 202-1도

교량

126˚51'52.29"

35˚24'34.32"

원동교


56

전남 장성군 북하면 덕재리 산26-4임

교량

126˚51'32.24"

35˚24'42.26"

덕재교


57

전남 장성군 북하면 쌍웅리 224-1전

교량

126˚51'10.89"

35˚25'08.34"

송정교


58

전남 장성군 북하면 쌍웅리 164-1전

교량

126˚51'04.21"

35˚25'16.00"

쌍웅육교


59

전남 장성군 북하면 쌍웅리 산80-1임

교량

126˚51'02.53"

35˚25'17.42"

쌍웅생태교


60

전남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산53-2임

교량

126˚50'59.50"

35˚25'19.77"

황룡천교


61

전남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산53-2임

교량

126˚50'59.19"

35˚25'19.16"

신웅교


62

전남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185-1답

교량

126˚50'50.94"

35˚25'22.84"

북상교


63

전남 장성군 북하면 쌍웅리 777-19답

교량

126˚50'40.92"

35˚25'22.78"

하웅교


64

전남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23-25답

교량

126˚49'30.86"

35˚25'13.74"

오현교


65

전남 장성군 북이면 오월리 143-2도

교량

126˚49'22.03"

35˚25'24.62"

자라뫼교


66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48-7답

교량

126˚49'15.63"

35˚25'53.52"

복룡교


67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산41-2임

교량

126˚49'14.45"

35˚26'12.41"

조산생태교


68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471-1답

교량

126˚49'00.27"

35˚26'35.06"

조산교


69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767-1구

교량

126˚48'55.03"

35˚26'44.88"

조산천교


70

전남 장성군 북하면 덕재리 산52-2도

교차로

126˚52'23.90"

35˚24'28.42"

화룡교차로


71

전남 장성군 북하면 덕재리 161-10유

교차로

126˚51'54.31"

35˚24'34.14"

원동교차로


72

전남 장성군 북하면 신성리 179-2도

교차로

126˚50'51.00"

35˚25'22.56"

신성교차로


73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48-7답

교차로

126˚49'15.37"

35˚25'58.81"

복룡교차로


74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산20-4임

교차로

126˚49'00.17"

35˚26'35.17"

조산교차로


75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596-3답

교차로

126˚48'43.57"

35˚25'53.66"

복암교차로


76

전남 장성군 북이면 사거리 587-195도

교차로

126˚48'33.70"

35˚25'56.58"

연수교차로


77

전남 무안군 해제면 송석리 ~

영광군 염산면 옥실리

교량

126˚21'14.37"

35˚09'49.12"

칠산대교

七山大橋


※ 지도제작 시 지형지물에 따라 지명의 경위도가 다소 변경될 수 있음

**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ㅁ 찾아가는길 위치 지도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웃으며삽시다2016. 12. 11. 19:38
300x250




신부님께 검은사제들 영화에 대해서 여쭤 보았다.


- 그거 너무 비현실적이야.


- 어떤 부분이 그런지요?




- 강동원 얼굴로 사제를 할 리가..



그렇다고 한다. 



개그는 개그일 뿐, 오바하지 말자~~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6. 12. 11. 15:05
300x250




중고차 시세정보 여기에 다 있어…모바일 서비스 제공


차종, 연식, 시세 등 선택하여 검색 가능…중고차 시장 투명성 강화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와 교통안전공단(이사장 오영태)은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소비자가 제작자, 차종, 연식별 중고차 시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ㅇ 이는 지난 제14차 경제관계장관회의(‘16. 9. 21.) 안건 중 중고자동차 시장 선진화 방안에 따른 후속조치로, 지난 9월 30일부터 자동차민원대국민포털( http://www.ecar.go.kr )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한데 이어 이번 달부터는 모바일 서비스(마이카 정보)를 시작하였다. 


* ‘16년 11월 한 달간 인터넷을 통한 시세정보 조회 건수는 62,155건임.



□ 중고차 시세정보 공개는 소비자가 중고차 시세를 알지 못하여 시세에 비해 과도한 가격을 지불하고 중고차를 구매하거나, 시세보다 과도하게 낮은가격으로 광고하는 허위・미끼매물로 인한 피해사례가 빈번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만든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의 전월기준 거래가격 정보를 제공하여 중고차 구매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비정상적 관행의 정상화가 이뤄지는 것이다.  


ㅇ 시세정보는 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현대캐피탈, KB차차차, SK엔카직영의 5개 기관 정보를 교통안전공단에서 취합하여 매월 무료로 공개하고 있으며, 제작자, 차종, 연식, 시세정보 제공기관을 선택하여 소비자가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다. 



□ 김채규 국토교통부 자동차관리관은 작년 10월부터 제공 중인 자동차이력관리정보 조회 서비스와 이번 중고차 시세정보 공개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가 충분한 사전 정보를 갖고 중고차를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며, 소비자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중고차 시장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고 말했다. 


ㅇ 또한,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소비자 의견수렴 및 제공기관 간 협의를 통해 소비자가 보다 편리하게 시세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맞춤형 자동차 정보 서비스 제공을 통해 정부 3.0을 실현시키는데 앞장설 것 이라고 덧붙였다.





[참고] 인터넷, 모바일 시세정보 조회 화면



□ 인터넷


< 자동차민원대국민포털 메인 >


< 조회 화면 >



□ 모바일


< 마이카정보2.0 메인 >


< 조회조건 입력 >


< 조회 결과 >


< 조회결과 상세내역 >




**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6. 12. 11. 14:45
300x250




수서-동탄 간 출․퇴근 전용열차 운행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개통시까지 동탄지역 통근편의 제공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수서고속철도가 개통되는 12월 9일부터 동탄지역의 수도권 통근 편의 제공을 위해 수서-동탄간 출․퇴근 전용열차를 운행한다고 밝혔다.


ㅇ 통근 전용열차 운행은 2013년 11월 국토교통부, 한국철도시설공단, 한국토지주택공사 간에 체결한 ‘수서고속철도와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의 공용구간 사업비 분담 협약’에 의해 추진되는 것으로서, 


ㅇ 동탄2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가 8,000억원을 부담하고, 정부는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 개통시까지 출퇴근 시간에 교통편익을 제공하기로 약속한 취지가 담겨있다.



□  전용열차는 SRT 고속열차를 출․퇴근 시간에 맞춰 각 1회씩 운행하는 것으로, 출근열차는 동탄역을 7시 10분에 출발하여 수서역에 7시 25분에 도착하고, 퇴근열차는 수서역을 18시 50분에 출발하여 19시 5분에 도착한다. 운임은 전용열차에 한해 편도 3,000원이 적용된다.


ㅇ 또한, 정기열차의 동탄역 정차도 확대되어 출근시간대(07~09시)는 동탄역을 지나는 상행 5회를 모두 정차하고, 퇴근시간대(18~21시)는 하행 11회 중 9회를 정차함으로써 동탄지역 주민들의 고속철도 이용 편의가 증대될 전망이다.




**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6. 12. 11. 14:20
300x250




운임 인하, 서비스 향상.. 과연?? 



====



수서고속철도 9일 개통…운임 10% 인하, 서비스 향상


간선철도 최초 경쟁체제 도입…고속철 일일 운행횟수 43% 증가



□ 수서~평택 고속철도(이하 수서고속철도, 61.1km)가 9일 개통된다. 117년 철도 역사 최초로 간선철도에 경쟁체제가 도입됨에 따라 운임은 기존 대비 10% 인하되면서도 앱을 통한 승무원 호출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하루 고속철도 운행횟수는 주말 기준으로 269회에서 384회로 43% 증가해 표를 구하기 어려운 불편도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ㅇ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수서~평택 고속철도(이하 수서고속철도, 61.1km) 공사가 완공되어 오는 8일(목)에 개통식을 갖고 9일부터 운행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ㅇ 이번 개통식은 고속철도 수서역에서 개최되며, 국무총리를 비롯해 정․관계 인사 및 지역주민 등 800여 명이 참석하여 수서고속철도 개통을 축하할 예정이다.



□ 수서고속철도 공사가 2011년 5월 첫 삽을 뜬지 5년 7개월 만에 새로운 시속 300㎞ 고속열차가 고객들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 시설 현황: 터널 56.8㎞(93%), 지상 4.3㎞(7%), 역사 3개소(수서, 동탄, 지제)

* 총 사업비: 3조 1,272억 원(국비 40%, 철도시설공단 조달 60%)


ㅇ 수서고속철도 건설 사업은 서울~시흥 구간의 선로용량 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수도권 동․남부권까지 고속철도 수혜지역을 확대하기 위한 사업으로 2009년 기본계획이 고시되면서 첫 걸음을 내디뎠다.


ㅇ 수서고속철도의 개통으로 주말 기준 고속열차 운행 횟수가 약 43% 증가하게 됨에 따라 표를 구하지 못해 고속철도 이용에 어려움을 겪었던 국민들의 불편이 크게 해소될 전망이다.


* 고속철도 일일 운행횟수(주말 상․하행): 현재 269회 → 384회로 43% 증가함.(경부에서 출발 183회 → 256회, 호남에서 출발 86회 → 128회)


ㅇ 또한, 강남 수서, 경기 화성 동탄과 평택 지제에 새롭게 고속철도 역이 생기게 됨으로써 서울역 접근 문제로 인해 고속철도 이용이 곤란했던 수도권 동․남부 지역 주민들이 편리하게 고속철도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 수서고속철도는 전체 61.1㎞ 구간 중 약 93%에 해당하는 56.8㎞가 터널로 이뤄져 있어 건설공사 진행 단계는 물론 이후 철도 운영 단계에서까지 안전성을 확보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며 사업이 추진되었다.


ㅇ 특히, 총 연장 52.3㎞(개착터널 포함)의 율현터널은 국내 최장대 터널로 총 22개의 대피로를 마련했고, 유관기관 합동 훈련을 실시하여 비상상황 시 대응 능력 향상을 꾀하고 각종 방재시설의 상태를 점검하였다.



□ 한편, 수서고속철도 개통으로 새롭게 선보이는 3개의 역사 중 수서고속철도의 시․종착역인 ‘수서역’은 지하철 수서역과 같은 층에서 환승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져 수도권 전철과 접근성이 다른 어느 역사보다 뛰어나다.


ㅇ 동탄 신도시에 위치한 ‘동탄역’의 경우 우리나라 최초의 지하 고속철도 역사로 향후 개통되는 삼성~동탄 광역급행철도(GTX)와 공용으로 쓰이도록 지어졌다.


ㅇ 평택시에 위치한 SRT ‘지제역’은 기존 1호선 지제역사와 나란히 지어져 경기 남부의 새로운 관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토교통부는 개통준비 과정에서 관련 지자체와 협력을 통해 버스노선을 조정하고 버스정류장을 신설하는 계획을 세우는 등 연계교통체계 구축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ㅇ 아울러, 건설 사업을 시행한 철도시설공단도 새롭게 문을 여는 역사의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연계교통 시설은 물론 각종 도로 표지판까지 세심하게 신경을 쓰는 등 준비를 철저히 하여 개통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 수서고속철도의 개통은 무엇보다 대한민국 117년 철도역사 최초로 간선철도에 경쟁체제가 도입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수서고속철도의 운영사인 SR과 코레일은 이미 고속철도 이용 고객을 확보하기 위한 서비스 경쟁을 시작했다.


ㅇ신규사업자인 SR은 기존 운임 대비 10% 인하된 운임을 도입하여 본격적인 가격경쟁의 시작을 알렸고, 검표와 접객 업무의 구분, 앱을 통한 승무원 호출기능 등을 통해 차별화된 승무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그동안 코레일은 열차 출발시간 이후에는 역에서만 승차권 반환이 가능했으나, SR은 출발 후 5분까지 홈페이지․앱으로도 승차권 반환이 가능하게 하여 이용자 편의를 높였다.


ㅇ코레일도 SR과의 경쟁을 준비하며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SR의 운임인하 전략에 대응해 마일리지 제도를 도입하는 동시에 경부․호남축 KTX의 서울․용산역 혼합 정차, 광명역 셔틀버스 운행 등 역으로 가는 접근성도 높일 예정이다.



□아울러 두 회사는 운영 회사가 2개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승차권 상호 발매 서비스를 제공한다.


ㅇ 국민들은 두 회사 역에서 다른 회사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두 회사 홈페이지․앱에서도 다른 회사 승차권을 검색한 후 승차권을 선택하면 다른 회사 홈페이지․앱이 바로 연결되어 승차권을 구매할 수 있다. 



□ 두 회사의 경쟁으로 인한 혜택은 국민들에게 돌아갈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최초로 도입된 경쟁체제의 효과를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고, 경쟁체제가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발굴․추진할 계획”임을 전했다.



□ 국토교통부는 이번 수서고속철도는 지역경제를 발전시키고, 국토의 균형발전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고, 특히 수서역은 현재 추진 중인 수서~광주 복선전철이 건설되면 강릉, 안동, 경주, 진주, 거제 지역까지 연결되는 전국 철도망의 허브가 되어 서울역 집중현상도 대폭 해소될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ㅇ 개통행사에 참석하는 강호인 장관은 “수서고속철도 개통으로 국민들이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며 “수서고속철도의 성공적인 개통은 세계 각국에 우리 철도 산업의 우수성을 홍보하는 확실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 이미지출처 : https://etk.srail.co.kr/cms/article/view.do?postNo=16&pageId=TK0502000000




ㅁ 수서발 고속철도 개통...새벽 5시부터 운행 / YTN (Yes! Top News)

 


ㅁ 고속철 세계 '최장 터널'...수서고속철도 개통 / YTN 사이언스



ㅁ 수도권고속철도 수서~평택건설사업 홍보영상 



ㅁ 수서고속철도 홍보영상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6. 12. 11. 14:13
300x250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북부구간 통행료 인하방안 찾는다


- 12.5(월) 11:00, 연구용역 설명회 개최 -



□ 국토교통부(장관 강호인)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북부 민자 고속도로 구간(이하, 민자구간)의 통행료 인하방안 연구용역* 설명회를 이번달 5일(월) 11시에 국회의원 회관에서 개최한다. 


* 연구용역 기간은 ’15.12.~’16.11.이고, 연구기관은 교통연구원․삼일 회계법인임.


ㅇ 이번 설명회는 그동안의 연구용역 검토 결과를 설명하고, 합리적인 통행료 인하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 연구진은 이자율 인하, 사업자 변경 등 기존의 통행료 인하방안과 함께 기간 연장과 사업자 변경을 결합(차액보전방식 재구조화)한 새로운 대안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ㅇ 국토교통부는 이번 설명회를 시작으로 지역․전문가 등의 의견수렴을 거쳐 합리적 방안을 마련하고, 전문기관 검토, 협상 등 실무절차를 거쳐 내년 말 통행료 인하를 목표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서울외곽 민자구간을 통해 ‘새로운 민자도로 통행료 인하모델’이 정립되면, 통행료 수준이 높은 다른 민자도로에도 순차적으로 확대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서울외곽 북부 민자구간의 통행료는 4,800원*으로 재정도로 요금보다 1.7배 높아 국회, 지자체 등에서 통행료 인하를 요구해 왔으며,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말 민간사업자와 공동으로 통행료 인하를 위한 연구용역에 착수했었다. 


* 전 구간(36.3km) 통행 시, 1종 승용차 기준의 금액이다. 





[붙임1] 통행료 인하방안 검토안



□ 이자율 인하(자금재조달)


ㅇ 차입금 이자율을 인하하여 금융비용을 절감하고, 이를 활용하여 통행료 인하


⇒ 100~200원 인하(2~4%), 효과가 미미하고 차입금 대부분을 주주로부터 대출 받아 주주수익률 저하를 이유로 사업자가 반대


□ 사업자 변경(사업재구조화)


ㅇ 사업자로부터 운영권을 매입하고, 신규 사업자와 낮은 사업수익률로 재계약*하여 통행료 인하


* 정부가 사업자의 소요비용 등을 보장하여(비용보전방식) 수익률 인하


⇒ 최대 1,605원(33%) 인하, 매입가격 합의가 어렵고 사업자가 미래 기대수익 포기 곤란 등으로 반대 시 정부가 강제할 수 없는 한계


□ 기간연장+사업자변경(차액보전방식 재구조화)


ㅇ 새로운 투자자가 통행료 차액을 보전하여 통행료를 인하한 뒤, 기존사업자의 협약기간 종료(‘36) 이후 20년간 투자금 회수


* 연장기간(’36~’56)은 비용보전방식으로 전환하여 낮은 수익률로 투자자 모집


⇒ 1,415~2,184원(30~46%) 인하, 기존사업자의 수익률을 유지하는 방식이므로 다른 방안에 비해 사업자와의 협의가 용이


* 기존사업자의 운영기간을 연장하는 경우 인하효과는 310원(6.5%)에 불과


* 통행료 인하로 인해 교통량이 증가(13~26%)하며, 교통량 증가분만큼 차액 보전액을 감소시켜 통행료 인하효과 증대




[붙임2] 서울외곽순환도로 북부구간 사업개요



□ 구  간 : 경기 고양시 내곡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 연  장 : 36.3㎞(8차로)


□ 투자비 : 2조 2,792억원(민간 14,848/보조 5,003/보상비 등 2,941)


□ 운영사 : 서울고속도로㈜ (국민연금공단, 다비하나인프라투융자)


□ 통행료 : 4,800원(도공 대비 1.7배) 


□ 추진경위 


ㅇ 실시협약 체결(‘00.12월), 착공(’01.6월), 개통(1단계 ‘06.6, 전구간 ’07.12)








** 출처 : 국토교통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6. 12. 10. 18:19
300x250



Chromecast KR: 흔한 남매의 대화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웃으며삽시다2016. 12. 10. 15:41
300x250




헐~ 산타가 중국사람 이었다니~~





- 산타가 중국인 이라구요???


- 왜 모든 장난감에 중국산이라고 적혀 있겠니???




개그는 개그일 뿐, 오바하지 말자~~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6. 12. 8. 15:42
300x250



일어나 (Rise up) MV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SMHS)

 



일어나 -가사 (노래: 강푸름, 이예은, 이수환 | 서울실용음악고등학교) 



300x250
Posted by 마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