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살아보세2014. 9. 13. 13:37
300x250




주민세 등 지방세 20년 만에 현실화 한다.

자치단체 스스로 복지·안전 재원 확보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작성일 : 2014-09-12



- 주민세


개인의 경우, 10,000원 이내의 범위에서 자치단체 조례로 세율을 정하도록 하였으나, 자치단체별로 2천원(무주군)~1만원(보은군 등 3개) 등 형평이 맞지 않고 세율의 현실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개인 균등분 세율을 현행 ‘1만원 이내 조례’로 정하던 것을 ‘1만원이상 2만원이내 조례’로 정하도록 하되, 2015년에는 하한선을 7천원(2016년에는 1만원)으로 하여 연차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 자동차세


자동차 소유자에게 과세하는 소유분 자동차세의 경우도 정액세율로 되어있고, `91년 대비 교통요금, 유류세 등은 2~8배 상승하였으나, 현재까지 조정되지 않아 현실성이 결여되고 있어 이를 그간의 물가인상율(105%)를 고려하여 조정할 계획이다. 이를 일시에 조정할 경우, 운수업계 등에 미치는 영향 등을 고려하여 3개년에 걸쳐 연차적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다만, 서민 생계형 승합자동차(15인승 이하)는 인상대상에서 제외하여 현행세율을 유지하고, 1톤이하의 화물자동차의 경우도 현행 연간 6,600원에서 10,000원으로 3년간*에 걸쳐 단계적으로 인상함으로써 서민 생계에 급격한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 담배소비세 


`05년 이후 조정되지 않고 있는 담배소비세도 흡연율 감소를 통한 국민건강증진을 위해 담배소비세율을 현행 641원(궐련 20개비당)을 1,007원으로(366원↑) 조정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전자담배, 물담배 등 다른 담배도 동일한 비율로 세율을 인상하며, 담배소비세의 부가세인 지방교육세의 세율을 담배소비세의 50%에서 43.99%로 조정하게 된다.


- 취득세


취득세의 경우 취득가액이 5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취득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91년부터 현재까지 장기간 고정되어 그간의 경제현실 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취득세 면세점을 75만원으로 인상하여 서민들의 세부담이 경감되도록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70억원의 조세경감의 혜택이 발생하게 된다.


- 자동차세 연납 할인 폐지 

고금리 시대(`94년)에 자동차세 징수율을 제고하고 선납으로 인한 이자 보전을 위해 자동차세 연세액 일시납부공제제도를 도입하였으나. 저금리 시대(금리변동 : `96년 9.19%→`13년 2.72%)인 현 시대에는 적합하지 않는 점, 징수율 제고와 연계성이 낮은 점, 납세전가·부자지원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어 이를 개선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일시에 폐지할 경우 납세자의 혼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연차적으로 공제율을 낮추어 가려는 것이다.



* 출처 : 안전행정부 

http://www.mospa.go.kr/frt/bbs/type010/commonSelectBoardList.do?bbsId=BBSMSTR_000000000008



========

국가의 재정 부족을 지방자치단체에 떠 넘기려는 데, 지자체가 돈이 없다고 하니, 지방세를 올려 받으라고 한다. ^^



300x250
Posted by 마스타
블로그운영2014. 9. 13. 12:55
300x250



어느 블로거 분이 애드센스의 페이지뷰를 가지고 수익률을 대충 계산해 놓은 것이 있다. 아래 사이트로 가 보면 된다. 

본인도 애드센스를 운영해 본 결과를 잠깐 덧붙이자면.. 


광고가 보여 졌을 때, 클릭하는 비율은 1% 가 안된다. 

아래 사이트에는 0.9% 정도로 계산을 해 놓았는데.. 물론 대략이다.. 

내가 보기엔 1% 에 훨씬 못 미치는 것 같다. 

100번 광고가 뜨면, 1번 클릭 할까 말까 이다. 


광고를 한번 클릭 했을 때 발생하는 수익은.. 0.2$ 정도.. 

아래 사이트에서는 0.19$ ( 200원 ) 정도로 계산을 해 놓았다. 

이는 너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그냥 200원 정도로 하자.. 


구글에서는 누적 수익이 100$ 이상이 되어야만 수익금을 지급한다. 

한달에 한번 지급하기 때문에 매월 100$ 이상이 되어야만 매월 지급받을 수 있다. 


이렇게 예상 했을 때, 월 100$ 의 수익을 계산해 보면.. 

1만번 페이지뷰 * 0.9% 클릭 * 0.2$ 클릭단가 = 18$ 의 수익

10만번 페이지뷰 * 0.9% 클릭 * 0.2$ 클릭단가 = 180$ 의 수익.


6만번 페이지뷰 * 0.9% 클릭 * 0.2$ 의 클릭단가 = 108$ 의 수익.. 

즉, 6만번 정도의 페이지뷰가 일어 나야 100 달러 정도가 수익이 나고, 매월 우리돈으로 10만원 정도를 받을 수 있다. 

은행 수수료 등을 떼야 한다. ㅡㅡ


그러므로, 애드센스로 월 100만원의 수익을 올리려면 매달 60만명 정도의 방문객수가 있어야 한다는 결론이다. ^^


아래 사이트에서는 억단위 까지 예상을 해 놓았는데, 

접속자 수가 많아지면.. 동시접속을 위한 서버 비용이나 계산 방법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대형 커뮤니티 같은 사이트에서는 클릭률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는 논외로 하자.. 




* 참고 : 페이지뷰와 클릭률(CPC)로본 애드센스 예상수입 알아보기 http://alligo.tistory.com/104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9. 7. 17:38
300x250




호주 남부 눌라보 (Nullabor) 평원을 가로지르는 


에어 하이웨이 (Eyre Highway)



Nullarbor warning signs


* 사진출처 :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Eyre_Highway




- Eyre Highway 에어 하이웨이 위치



* 출처 : 구글지도

https://www.google.co.kr/maps/place/Eyre+Hwy,+%EC%98%A4%EC%8A%A4%ED%8A%B8%EB%A0%88%EC%9D%BC%EB%A6%AC%EC%95%84/@-31.6110664,129.7202377,665m/data=!3m2!1e3!4b1!4m2!3m1!1s0x2aea8f8279988c27:0x44318690fc71ae15




ㅁ 호주 관광청 웹사이트에 있는 눌라보 평원 소개 페이지

http://www.australia.com/ko-kr/itineraries/crossing-nullarbor.html





90 MILE STRAIGHT

AUSTRALIA'S LONGEST STRAIGHT ROAD

145.6 km


* 이미지출처 : http://www.dangerousroads.org/australia-and-oceania/australia/1690-eyre-highway-australia.html



300x250
Posted by 마스타
블로그운영2014. 9. 6. 11:08
300x250


다음커뮤니케이션 합병 안내

새로운 소식 2014/09/01 10:27


안녕하세요, TISTORY입니다.

 

티스토리 서비스를 이용해주시는 고객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다음커뮤니케이션 합병과 관련해 안내 말씀드립니다.


2014년 10월 1일부터 포털서비스 Daum 등을 운영하는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과 국내 대표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 등을 운영하는 주식회사 카카오가 합병하여 하나의 회사로 새롭게 출발합니다.


- 법인명 : ㈜다음커뮤니케이션

-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첨단로 242(영평동)

- 전화번호 : 1577-3321


합병 후에도 회원님의 개인정보는 기존과 동일하게 동의하신 범위 내에서만 이용되며,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및 '개인정보 보호법' 등 관련 법령 기준에 의하여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관련하여 궁금하신 점이나 소중한 의견은 언제든지 고객센터로 알려주시면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많은 관심과 이용 부탁드리며, 변함없이 이용자가 더욱 안전한 인터넷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출처 : http://notice.tistory.com/2198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9. 4. 15:53
300x250




ㅁ Cash cow  ( 캐시카우 )



비즈니스 업계에서는 한번 사와서 키우기만 하면 추가비용 없이도 지속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암소(cow)를 비유해 캐시카우(cash cow)라는 용어를 만들어 냈다. 


보스톤 컨설팅 그룹(Boston Consulting Group)에서 처음 사용한 이 용어는, 우유가 아닌 현금을 짜내는 젖소, 즉, 막대한 현금을 제공해 주는 마진율이 높은 기업이나 상품을 의미한다. 


계속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창출하기 때문에, 여기서 얻은 이익을 바탕으로 기업은 다른 분야에 뛰어 들어 확장하는 원동력이 된다.



캐시카우가 있으면 해당 기업의 안정적인 수익을 가져다준다. 이미 투자비용을 모두 회수하고도 남는 상태에 놓인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사의 컴퓨터(PC) 운영체제인 윈도즈(Windows)와 사무전문 프로그램인 오피스(Office) 제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출처 : 

http://ask.nate.com/qna/view.html?n=8597727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85609





48% of Apple's revenue for the first quarter of 2007 was made from iPod sales.

사진출처 : 위키백과  http://en.wikipedia.org/wiki/Cash_cow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9. 4. 15:12
300x250

사회보험징수 포털에 아래와 같은 공지가 떠 있다. 




♣ 보험료 생성일자 및 납부방법 안내 ♣


1. 2014.9.25.부터 신용카드로 사회보험료 납부시 

    납부금액의 1%에 해당되는 납부대행수수료를 포함하여 

    납부하게 됩니다.

    (국민연금은 법 개정 중으로 시행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2. 정기고지(당월분) 보험료 내역은 매월 21일부터 조회 후,

    납부할 수 있습니다.

3. 정기고지 및 미납 보험료 내역은 화면 아래에서 선택 후,

    4가지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사회보험통합징수 포털  http://si4n.nhis.or.kr/



====

앞으로는 신용카드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의 사회보험을 납부할 때에 수수료를 부과한다고 한다.. ㅡㅡ

신용카드 수수료를 국민에게 떠 넘기는 것으로 밖에 해석이 안되는데.. 우찌 이해를 해야 하나? ㅡㅡ

안그래도, 올초에 보험료가 올랐는데, 또 오르는 셈이다.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9. 4. 12:32
300x250


마성의 난제

The Cosmic Code Breakers


소수의 배열에 대한 비밀을 풀기 위한 수학 천재들의 도전을 이야기 하고 있는 일본 NHK 방송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9. 4. 11:36
300x250

RDJ Arrives in South Korea


Robert Downey Jr

영상의 시점이.. 로다주를 따라 다니는데.. 

구글 글래스 같은 것으로 찍은 것 같다.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4. 9. 3. 18:08
300x250

최근 한 걸그룹의 교통사고로 인해 멤버를 잃는 사건이 있었다.

그래서 찾아 보니, 단순히 옆으로 미끄러지고 돌아가는(회전하는) 사고가 아닌, 데굴데굴 구르는 전복 사고의 경우 엄청 위험한 모양이다. 

전 좌석 안전벨트를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겠다. 



* 이미지 출처 : 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ook&no=561704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서버관리2014. 9. 2. 18:22
300x250


스마일서브가 가상서버 전용 L7 로드밸런서 출시하여 서비스 한다고 메일이 왔다. 

서버 추가 무제한!!

비용은 코어당 월 4만원



서비스 이용시 주의 사항 !

1. 본상품은 가상서버를 이용하시는 고객에게 제공 되는 서비스 입니다.

2. 본상품의 의무사용 기간은 1개월이며, 1개월이내 해지시 환불되지 않습니다.

3. 서버간 실시간 동기화 작업이 이루어져야지만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4. L7 의 장애 발생시 가상서버와 상관없이 서비스 중단이 될수 있습니다.

5. 부하분산 서비스를 사용하시더라도 서비스하는 서버 대수가 적으면 폭주하는 접속자 처리를 할수 없습니다.

6. 고객님께서 직접 제어 가능한 자체 네임서버나 스마일서브 네임서버 ns1.kr, ns2.kr 를 사용을 권장합니다.

7. L7 부하분산 서비스시 클라이언트 아이피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은 웹서버의 모듈 설치 혹은 웹페이지 소스 부분을 수정하셔야 합니다.

8. 공유형 L7 사용시 속도가 느림 / 부하 발생시 코어개수를 늘리거나 단독형 장비를 업그레이드 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

http://www.cloudv.kr/rew1/cloud/server_load_balancer_1.html


300x250
Posted by 마스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