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살이2015. 6. 18. 17:51
300x250

삼성서울병원 기존 외래환자 의약품 처방지침

- 메르스 확산 차단 지원, 외래환자의 불편 해소 목적으로 한시적 지침 -



□ 보건복지부(장관 문형표)는 6.16일 삼성서울병원 외래환자의 요청과 삼성서울병원 및 삼성서울병원에 파견된 방역관의 건의를 수용하여,


○ 삼성서울병원 기존 환자의 외래진료(재진)에 한해 한시적으로 전화 진찰 후 환자가 지정하는 약국으로의 처방전 팩스 발송을 허용한 바 있다.



□ 삼성서울병원은 외래ㆍ입원 환자, 방문객, 의료인 등의 메르스 감염이 발생하여 지난 6.15일부터 외래환자 진료를 중단한 바 있다.


○ 6.14일 대한병원협회 주최 수도권 의료기관장 회의를 개최하여, 삼성서울병원 부분 폐쇄 조치에 따라 예상되는 혼란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후속조치를 논의하였다.


○ 그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일부 특수 외래환자(항암주사, 방사선치료, 혈액투석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재진) 외래환자는 다른 의료기관을 이용하도록 합의하였다.



□ 그러나, 삼성서울병원측에 따르면 기존 외래환자(재진)들이 일부 의료기관에서 삼성서울병원을 다니던 환자라는 이유로 진료를 기피ㆍ거부하여 불편이 있음을 호소하고,


○ 부분폐쇄조치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삼성서울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거나, 전화로라도 삼성서울병원 담당 의사로부터 진찰을 받아 의약품을 처방을 받고 싶다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 이에 따라, 삼성서울병원의 기존 외래환자가 의약품을 처방받지 못 함에 따른 불편 해소차원에서 삼성서울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 파견된 방역관의 건의를 수용하여,


① 환자의 친족이 다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그 의료기관에서 삼성서울병원 의사(또는 종사자)에게 연락하여 해당 환자의 진료기록부를 확인하고 동일 의약품을 처방받을 수 있도록 하거나,


② 해당 외래환자가 전화로 삼성서울병원 담당의사와 통화하여 진찰을 받고, 의약품 처방전을 환자가 지정하는 약국에 팩스로 발송하여 해당 약국에서 의약품을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 한편, 기존에도 환자 대신 보호자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대리진찰을 받고 의약품을 대리처방 받고 있음


- ‘14년 총 619만건 : 상급종합병원 41만건, 병원급 318만건, 의원급 260만건(자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이는 삼성서울병원의 외래진료중단 해제시까지 일시적으로허용한 것으로,


○ 의료법 제59조제1항(지도와 명령)에 따라 복지부장관이 의료기관이나 의료인에 대해 내릴 수 있는 지도와 명령에 근거하여 실시한 것이며,


- 메르스 확산 차단 지원, 환자의 불편 해소를 위하여 취한 조치이다.



□ 그리고, 삼성서울병원에 대하여 담당의사가 환자와 전화를 통해 진료를 할 때 환자에게 다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할 것을 적극 안내하게 하고,


○ 환자가 다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그 의료기관에서 삼성서울병원 담당 의사와 협의하여 진료하게 되면 그 이후에는 약국으로의 직접 처방전 발송을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 또한, 삼성서울병원 외래 진료가 재개되면 금번 조치는 철회된다.



** 출처 :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7. 19:19
300x250

□. HMD(Head Mounted Display) 

○ 시각적 가상현실을 구현하기 위해 헬멧에 장착된 화면에 입체 영상을 나타나게 하는 장치


HMD 기본 개념도


□. VST(Video See-Through)

○ 눈앞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있는 것과 같은 상태, 현실 배경의 영상 위에 증강시킬 물체를 랜더링 한 후 최종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것

※ 랜더링: 2차원의 화상에 광원·위치·색상 등 외부의 정보를 고려, 사실감을 불어넣어 3차원 화상을 만드는 과정


□. 매트릭스 렌즈

○ 초점 거리를 충분히 작게 줄이면서도 수차왜곡이 억제될 수 있도록 고배율의 렌즈 셀을 정방 배열한 매트릭스 렌즈


□. sEMG(Surface Electromyography)

○ 피부에 전극을 붙여 신경 자극에 대한 근육의 반응을 감지하는 방법


□. NUI(Natural User Interface)

○ 사용자의 자연스런 행동을 통한 직관적, 실감형, 무형의 인간-기계 인터페이스 기술로 초기에는 키보드나 마우스로, 그 뒤 그래픽 기반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거쳐 멀티 터치, 햅틱, 3D 모션 인식 같은 자기 신체를 활용하는 NUI로 나아가고 있다.


□.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 3축 자이로스코프와 3축 가속도계, 기압계 등으로 이뤄져 선형 및 각운동을 측정하는 독립시스템으로 무선조종비행체에 부착되어 흔들림 없는 촬영을 위해 사용됨


**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7. 19:12
300x250

안경식 디스플레이, 손동작으로 움직이는 아바타... 가상현실‘성큼’


□ 안경식 디스플레이를 쓰고 가상세계로 들어가서, 내가 움직이는 손동작만으로 가상 정보를 직접 선택하고, 펼쳐보고, 확대하고, 움직일 수 있다면, 영화에서 보았던 상상 속 가상현실이 보다 현실로 다가올 수 있지 않을까? 


o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런티어사업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 연구단(단장 유범재)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현실세계와 가상공간을 하나로 연결하는 ‘안경식 디스플레이’(HMD*)와 근육의 신호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의도를 실시간 예측하는 ‘피부 근전도 센서(sEMG**) 및 인식 기술’을 개발하였다.


* HMD: Head Mounted Display / ** sEMG: surface Electromyogram


□ 두 장치 모두, 기존 한계를 뛰어넘는 간편하면서도 매우 혁신적인 장치라는데 차별성이 있다. 


o 안경식 디스플레이(HMD)는, 기존 장치들이 모두 머리에 벨트를 둘러 고정해야 할 만큼 두껍고 큰 부피이며 무거운 반면, 작고 가벼워 안경 형태로 착용할 수 있을 정도로 휴대가 용이하다. 


- 또한, 소형 경량의 렌즈로도 기존 제품과 동일한 시야각을 확보하였으며, 현실과 가상 시야가 완전히 겹치는 ‘비디오 시스루(Video See- through)*’ 방식도 가능하여 영화, 게임 등에 활용 시 보다 몰입도 높은 가상현실 체험이 가능할 전망이다.


o 피부 근전도(sEMG) 센서는 밴드 형태로 팔뚝에 착용하면 손과 손가락의 운동패턴을 미리 인식할 수 있고, 함께 탑재된 관성센서를 사용하면 사용자 팔의 이동량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 즉, 허공에서 손동작만으로 컴퓨터 화면에 글씨를 쓰거나, 멀리 떨어진 로봇 팔을 움직이고, 스포츠선수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교정하는 일 등이 가능하다.


□ 위의 두 장치는, 현실세계와 가상공간을 하나로 연결한 새로운 현실(확장공간)을 창조하기 위한, 모바일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착용형 사용자 입력장치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지형 박사팀과 김기훈 박사팀과의 협업 연구를 통해 개발되었다.


o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은, 현실–가상–원격 공간을 하나로 결합한 ‘실감교류 인체감응 확장공간’을 구축하고, 다양한 감각을 양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개념 착용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들을 사용하여 접속함으로써, 


- 네트워크로 연결된 원격 사용자들이 한 곳에 모인 것처럼 서로 소통하고 인터랙션 및 협업할 수 있는 공존현실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 현재 가상현실 시장은 오는 2020년 약 3900억 달러, 2030년에는 1조 4367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o 안경식 디스플레이(HMD) 자체만으로도 2018년이면 판매량이 전 세계적으로 2,500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 출처 : Gartner Predicts By 2017, 30 Percent of Smart Wearables Will Be Inconspicuous to the Eye, STAMFORD, Conn., ’14.12.10(http://www.gartner.com/document/2930717)


- 피부 근전도 센서(sEMG)가 부가적으로 연결되어 헬스, 게임 산업 쪽에 응용된다면 이러한 신흥 시장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 또한 피부 근전도 센서(sEMG)만으로도 맞춤형 체형 진단 서비스, 의수, 의족 등의 재활의료기기 제어, 지능형 로봇의 원격제어 등 활용 분야가 무궁무진한 원천성을 지니고 있다. 


□ 이번 기술개발을 적극 지원한 유범재 단장은 “우리 연구단은 향후 ‘현실세계와 가상현실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혁신형 신기술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며, 


o “소개된 안경식 디스플레이가 기존 제품에 비해 착용성과 사용성이 우수하고 저렴하여 가상현실 시장의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피부 근전도 센서가 사용자 입력장치로 활용된다면 그 성장의 한 몫을 분명히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수요자들의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가 제공된다면 향후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o 안경식 디스플레이 장치의 창업을 준비 중인 이중호 박사는 “향후 HMD 장치의 성능 개발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관련 콘텐츠 시장도 같이 개척해 가상현실 시장의 국제적인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 개발된 두 장치 모두 올해 창업을 통해 제품 양산을 시작하고, 하반기에 대중들에게 첫 선을 보일 예정이다. 시제품은 7월 9-10일 양일간 상암동 중소기업디엠씨(DMC)타워에서 개최되는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테크 페어(Tech Fair) 2015’에서 만날 수 있다.


**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7. 15:53
300x250


카메라와 모니터로 앞쪽의 교통상황을 뒷차에게 보여 준다?? 헐~~

아이디어가 좋다. ^^

이런 것은 빨리 실용화가 되었으면.. ㅎ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7. 13:08
300x250


현재 온라인에서 공식적으로 복권을 구매할 수 있는 곳은 1곳이다.


예전에는 3곳 정도 있었는데, 2015년 6월 현재 복권위원회와 수탁계약을 맺은 업체는 나눔로또 하나 뿐이다.




아래 표를 보면, 수탁기간이 2018년도 까지 이다. 5년동안 혼자 해 먹을 수 있게 해 주는 모양이다. ^^



나눔로또의 공식 사이트는  http://www.nlotto.co.kr/   이다. 

위 사이트에서 회원가입후 로그인 한 다음, 예치금 충전을 하면 예치금으로 각종 온라인 복권을 구매할 수 있다.

예치금 충전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가능한데, 무통장입금, 휴대폰결제, 신용카드결제 등이 있다. 


주의할 점은, 나눔로또6/45 는 인터넷으로 구매할 수 없다!! 는 것.



그리고, 예전에 비해 바뀐게 있다. 

예전에는 위 화면에 연금복권520은 신용카드로 충전한 예치금으로는 구매할 수 없다고 적혀 있었다는 것.. ^^

지금은 해당 문구도 없어 졌고, 신용카드 예치금 충전 화면에 가면, 상단에 딱! 적혀 있다. 



· 2015년 2월 27일, 복권위원회 의결에 의해 연금복권은 '추첨식 인쇄·전자결합복권'으로 전환되었습니다.

· 이에 따라 인터넷 연금복권520은 신용카드로 결제하신 예치금으로 구매 가능합니다.



2월에 있었던 복권위원회의 구체적인 의결내용을 찾을 수는 없었지만, 

일단은 신용카드로 결제한 예치금으로 연금복권520을 구매할 수 있다!! 는 사실이다. ^^



** 출처 : 복권위원회, 나눔로또 웹사이트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7. 00:08
300x250

대한민국, 세계 7위의 품종보호 출원국 달성  

- 제도 운영 17년 만에 세계 품종보호 선진국 대열에 서다 -


국립종자원(원장 신현관)은 우리나라의 식물신품종 육성자 권리 보호를 위한 품종보호제도 도입 17년 만에 출원품종 수가 국제식물신품종연맹(UPOV) 회원국 중 7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 품종보호출원 상위 10개국 : ①유럽연합, ②미국, ③중국, ④일본, ⑤우크라이나, ⑥네덜란드, ⑦한국, ⑧러시아연방, ⑨캐나다, ⑩호주


❍ 최근 발표된 UPOV 기준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출원 건수는 2,913건('09~'13, 5개년)으로 72개 회원국 중 7위이며, ‘13년 통계보다 한 계단 올라선 순위이다. 

종자원은 품종보호 세계 7위를 당초 육성자 권리강화를 위한 종자원의 중장기('17년) 목표로 설정하였으나, 이를 2년 앞서 달성하게 되었다.


❍ 이는 우리나라 종자산업이 양적·질적 성장을 함께하여 선두그룹으로 안정화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우리나라의  출원건수 순위(5년 누적): 11위(’03) → 9(’06) → 8(’09) → 7(’13)


❍ 또한 이러한 성과는 종자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차원의 장기적 투자로 신품종 육성이 활성화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1998년 식물신품종보호제도를 시행하고 2002년 50번째 UPOV 회원국으로 가입하였다.


❍ 2012년부터 보호대상 작물을 전식물종으로 확대하고, 지난해 연말까지 7,453품종이 출원되었으며 5,218개의 신품종이 품종보호등록되었다. 

* 품종보호 출원 추이(작물수/품종수) : (’07)72작물/527품종 → (’09)92/547 → (’11)120/587 → (’13)127/599 → (’14)120/621

한편 지난 2013년 6월에는 품종보호제도의 정체성을 명확히 하고 제도 운영의 효율화를 위해서 식물신품종보호법을 종자산업법에서 분리하여 제정한 바 있다. 


** 출처 :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6. 23:59
300x250

유치원의 규칙 개정이 쉬워지고, 보직교사 배치 기준이 완화됩니다.

- 「유아교육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 예고 -


□ 교육부는 유치원 규칙 변경 절차를 간소화하고, 12학급 이상의 유치원의 보직교사 배치 기준을 완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유아교육법 시행령」일부 개정안을 6월 16일(화) 입법예고하였다. 


□ 이번 시행령 개정안에서는 

◦ 유치원 규칙을 개정할 경우, 지금까지는 사전에 변경 내용에 대해  인가를 받아야 했으나 앞으로는 중요한 사항*이 아닌 경우 개정 이후에 보고하도록 절차를 간소화하였다. 

* 학급편제 및 정원, 수업료․입학금과 그 밖의 비용 징수, 그 밖에 제 18조제1항에 따른 해당 유치원의 지도․감독기관이 정하는 사항, 기타 법령에서 유치원 규칙으로 정하도록 규정한 사항 

◦ 또한, 최근 학급수가 많은 대규모 유치원이 늘어남에 따라 12학급 이상 유치원에서 보직교사의 배치기준을 완화하였다. 

◦ 이외에도 시․도 유아교육진흥원의 설치 등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화하였다.


□ 입법예고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유치원 규칙 개정절차 간소화≫

◦ 기존에는 유치원 규칙을 개정하는 경우, 어떤 내용을 변경하든지  교육감의 사전인가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었으나

- 개정안은 유치원 규칙 중 ‘①학급편제 및 정원 ②수업료·입학금과 그 밖의 비용 징수 ③그 밖에 관할청이 정하는 사항 ④법령에서 유치원 규칙으로 정하도록 규정된 사항’이 아닌 경우에는 사전 인가 없이 개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는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는 규제완화의 일환으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여 현장의 부담은 줄어들고, 행정의 효율성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보직교사 배치기준 완화≫

◦ 현재, 관할청에서 유치원에 교무부장, 연구부장 등의 보직교사를  배치할 때 12학급 이상 유치원은 3인을 배치할 수 있었으나

- 학급수가 많은 대규모 유치원이 늘어남에 따라 보직교사를 3인 이상 배치할 수 있도록 배치기준을 완화하였다.

※ 12학급 이상 유치원 : 총 206개, 전체 유치원의 약 2.3%(’14.12월 기준)


≪시․도 유아교육진흥원 설치․운영 근거≫

◦ 또, 현재 시․도 교육청에서 운영 중인 유아교육진흥원의 설치 등에 필요한 사항을 구체화하였다.

※ 유아교육진흥원 : 14개 시․도에서 운영 중(’15)


□ 교육부는「유아교육법 시행령」의 입법예고를 통해 현장에서 제시하는 다양한 의견들은 면밀히 검토하여 개정안에 반영하고, 규제심사 및 법제심사 등을 거쳐 9월에 공포‧시행할 계획이다.  


** 출처 : 교육부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6. 23:51
300x250




오송~청주 2구간 도로확장공사 설계 착수



□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 이하 행복청)은 충북오송~청주 2구간 도로확장공사의 기본 및 실시설계 업체(동부엔지니어링(주) 컨소시엄)를 선정, 17일 설계 계약과 착수를 한다고 16일 밝혔다.



□ 오송~청주 2구간 도로확장공사는 행복청이 총사업비 689억 원을 투입해 현재 공사 중인 1구간 시점인 국도 36호선 미호천교의 교량 종점부에서 오송 궁평고가차도 까지 총 750m의 구간을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하는 사업이다.


ㅇ 이에 따라 세종시와 청주시 간 접근성 강화를 위해 오는 2017년 설계를 완료하고 2020년 말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ㅇ 이로써 청주권에서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로의 교통량 증가 등에 대비하고 ▲오송~조치원 ▲행복도시~조치원 연결도로 ▲행복도시~오송역~청주공항 연결도로와의 연계성도 높일 계획이다



□ 고성진 행복청 광역도로과장은 “공정한 입찰을 통해 우수한 설계회사가 선정된 만큼 내실 있는 설계로 고품질의 광역도로가 건설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5.06.16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 출처 : 정책브리핑 보도자료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컴퓨터2015. 6. 16. 17:50
300x250


Microsoft HoloLens demo delves into Minecraft footage. (Xbox One) - E3 2015 (Microsoft HoloLens)

300x250
Posted by 마스타
세상살이2015. 6. 16. 16:18
300x250



허영만의 만화로 쉽게 보는 메르스 감염 예방 생활 속 행동수칙

1. 물과 비누로 자주 손씻기

2.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말기

3.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있는 사람과 접촉을 피하기

4. 발열, 기침이 있을 때 마스크 착용

5. 메르스 신고전화는 국번없이 109, 지역번호+120

메르스, 일상 생활 속에서 간단한 실천으로 이겨낼 수 있습니다. 


** 출처 : https://twitter.com/wonsoonpark




300x250
Posted by 마스타